19세기 후반 동학 지도층의 역동적 관계구조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3 01:29
본문
Download : 19세기 후반 동학 지도층의 역동적 관계구조 연구.hwp
한편, 최시형 중심의 단일지도체제가 확립되는 시기인 1879년에는 최초의 公式(공식)적인 교단사인 『최선생문집도원기서』가 편찬, 간행되었다. 육임이란 교장, 교수, 도집, 집강, 대정, 중정 등으로 교단의 여섯 임직을 말한다. 셋째, 교세가 크게 확대되어 교단사를 집필하고 경전을 공개적으로 간행할 정도로 교단적 역량을 갖추었음을 의미한다. 적조암 수련 이후 49일 동안 일정 장소에 머물며 수련하는 의례가 동학의 주요 수련의례로 확립되었는데, 주로 신지식인 계층을 중간지도자로 양성하는 과정으로 실행되었다. 문집 편찬에 참여한 대부분의 인물들은 최시형을 중심으로 수련을 계속해 온 강시원 등의 신지식인층 교도들이었으며, 이들은 동학의 도통이 최시형으로 이어졌음을 강조했다.설명
19세기 후반 동학 지도층의 역동적 관계구조 연구
최시형은 마침내 강시원, 유시헌 등의 신지식인들을 갈래산 적조암의 ‘종교적 수련’을 통해 휘하로 수습할 수 있었다. 최시형은 1887년경부터 육임을 임명하고 육임소…(생략(省略))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최시형은 마침내 강시원, 유시헌 등의 신지식인들을 갈래산 적조암의 ‘종교적 수련’을 통해 휘하로 수습할 수 있었다.
1870년대 말부터 80년대 초반에 이르기까지 교단사와 경전이 집대성되었다는 사실이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해민란 이후 동학교단 내에서 최시형과 다른 지향을 가진 신지식인 세력이 일단 수그러들고, 교단 내의 상당수 신지식인층은 최시형 휘하로 흡수되어 최시형을 보좌하는 역할을 하게 된 것을 의미한다. 이들은 동학 주문을 하루에 ... , 19세기 후반 동학 지도층의 역동적 관계구조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19세기 후반 동학 지도층의 역동적 관계구조 연구.hwp( 92 )
다.
한편 최시형은 1880년대로 접어들면서 교단 조직을 정비하기 위해서 ‘육임제’라는 새 직제를 제정하였다. 집중적 종교수련을 거친 신지식인들은 종교적 확신을 가졌기에 민중 출신인 최시형을 적극 보좌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동경대전은 1880년, 용담유사는 1881년에 각각 집성, 편찬되었으며, 한문으로 된 동경대전은 신지식인층을 중심으로, 한글 가사체로 지어진 용담유사는 민중 계층을 중심으로 널리 보급되었다. 이들은 동학 주문을 하루에 ...
,인문사회,레포트
최시형은 마침내 강시원, 유시헌 등의 신지식인들을 갈래산 적조암의 ‘종교적 수련’을 통해 휘하로 수습할 수 있었다. 이들은 동학 주문을 하루에 2-3만 번 독송하는 49일 기도 수련 등의 종교적 수련을 통해서 종교적 확신을 가질 수 있었다. 둘째, 1870년대 후반에 이르러 최시형 중심 단일지도체제가 확립된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