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 곤충의 생물학적 응용 2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04:34
본문
Download : [생명과학] 곤충의 생물학적 응용.hwp
그러나 병원성세균에서 분비된 toxin들이 어떤 기전으로 활성화되어 숙주곤충의 생체방어체제를 극복하며 곤충을 죽이는 지에 관해서는 아직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 있다아
곤충의 생물학적 응용 곤충의 병원성 세균으로 잘 알려진 Bacillu...
다. 그러나 중...
생명과학 곤충의 생물학적 응용 2
곤충의 생물학적 응용
순서
곤충의 병원성 세균으로 잘 알려진 Bacillus thuringiensis내의 δ-endotoxin은 지난 30여 년간 분사용 살충제로써 개발되거나 이들 유전자를 지닌 변형 식물체(transgenic plant)를 고안해 냄으로써 농작물의 해충방제를 위해 널리 이용되어 왔다.설명
![[생명과학] 곤충의 생물학적 응용-6068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1/%5B%EC%83%9D%EB%AA%85%EA%B3%BC%ED%95%99%5D%20%EA%B3%A4%EC%B6%A9%EC%9D%98%20%EC%83%9D%EB%AC%BC%ED%95%99%EC%A0%81%20%EC%9D%91%EC%9A%A9-6068_01.gif)
![[생명과학] 곤충의 생물학적 응용-6068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1/%5B%EC%83%9D%EB%AA%85%EA%B3%BC%ED%95%99%5D%20%EA%B3%A4%EC%B6%A9%EC%9D%98%20%EC%83%9D%EB%AC%BC%ED%95%99%EC%A0%81%20%EC%9D%91%EC%9A%A9-6068_02_.gif)



[생명과학 ] 곤충의 생물학적 응용 2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곤충의 생물학적 응용 곤충의 병원성 세균으로 잘 알려진 Bacillu...
Download : [생명과학] 곤충의 생물학적 응용.hwp( 43 )
곤충의 생체방어체제에 있어 세균의 주된 감염경로가 소화관임을 감안할 때 물론 중장의 상피조직의 방어능력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라는 사실은 오래 전부터 인식되어 왔다. 최근 이와 관련되어 진행되고 있는 연구의 주된 내용은 새로운 곤충 병원성 세균을 발견하여 이들로부터 분비되는 새로운 형태의 toxin을 찾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nematodes와의 공생관계를 통해 곤충체강 내에 침입하여 숙주를 죽이는 세균인 Photorhabditis luminescens와 관련된 연구들에서 잘 알 수 있다아 병원성세균이 곤충의 체내로 침입하기 위해서는 기관(trachea)을 통하거나 혹은 탈피 과정 시에 표피를 통과하는 방법들이 있겠으나 대개는 주로 먹이를 통해 체내로 들어와 중장의 상피조직을 파괴시킨 후, 곤충의 체강에 침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아 체강에서 이 세균들은 lipases, proteases, toxins과 lipopolysaccharides (LPS) 등과 같은 물질들을 분비하며 침입한 세균에서 분비된 이 효소나 물질들은 곤충의 면역체제를 교란함으로써 숙주곤충의 생체방어능력을 약화시키는 방법으로 곤충에 독성을 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현재 이 독소에 대한 내성을 지닌 곤충들이 빈번하게 출현함으로써 새로운 대체 생물학적 살충제(biological insecticide)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