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즈의 초점거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02:18본문
Download : 렌즈의 초점거리.hwp





설명
Download : 렌즈의 초점거리.hwp( 29 )
첫 번째로 논의할 것은 공액점에 대하여이다. 여기서 착각하면 안 될 것은, 몇몇 대학 책에서는 O, I를 거리의 concept(개념)으로 나타내었다. 하지만 인위적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았다.(인터넷(Internet)을 참조 하지 않고 오직 저만의 생각이기 때문에 진위여부는 저로써는 알 수 없습니다. 매뉴얼에는 이를 공액점방법이라고 기술되어있는데, 기초 광학 책이나, 대학 물리학에도 언급이 되어있지 않아서 실무광학 책을 찾아봤는데, a=b, b=a인 지점에 선명한 점이 두 개 생길 때 그 부분에서 둘 사이의 관계를 공액점관계라고 기억이 된다. 그 당시에 렌즈를 배우고 있었는데, 렌즈를 움직일 것이라고는 상상도 못했다. 사실 이 질문을 다른 조원으로부터 2주전에 받은 걸로 기억이 난다. 즉 a = b일 때 선명한 점이 두 개가 생길 까이다.(실제로 그렇게는 안나와있지만 이 매뉴얼과 해석학적으로 종합을 해보자면 이렇게 밖에 해석이 될 수 없다. 이 실험에서는 볼록렌즈의 초점거리 측정방법중 하나인 공액점 방법을 쓸 것인데, 광원과 십자눈금판, 스크린은 그대로 고정시키고, 볼록렌즈만 움직이는 것인데, 십자눈금판에 가까웠을 때 한번 선명해지고, 스크린에 가까워졌을 때 다시 한 번 선명해지는데, 십자눈금판에서 볼록렌즈까지의 거리와 볼록렌즈를 왼쪽으로 움직였을 때 스크린에서 볼록렌즈까지의 거리가 같아질 때 그 두 점의 관계를 공액점 관계라고 한다
이 단원은 렌즈의 초점거리이지만 여기서는 볼록렌즈에 초점이 맞추어져있어서, 볼록렌즈만 다룰 것이다. 이 實驗에서는 볼록렌즈의 초점거리 측정(measurement)방법중 하나인 공액점 방법을 쓸 것인데, 광원과 십자눈금판, 스크린은 그대로 고정시키고, 볼록렌즈만 움직이는 것인데, 십자눈금판에 가까웠을 때 한번 선명해지고, 스크린에 가까워졌을 때 다시 한 번 선명해지는데, 십자눈금판에서 볼록렌즈까지의 거리와 볼록렌즈를 왼쪽으로 움직였을 때 스크린에서 볼록렌즈까지의 거리가 같아질 때 그 두 점의 관계를 공액점 관계라고 한다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다. 물론 a = b에 대한 오차율을 계산하는 부분은 매뉴얼에서 언급을 피하였지만 앞의 concept(개념)에 나와 있어 일단 알아야 된다고 생각한다.
이따 뒤에서 검토부분에 a와 b이 같을 때 왜 두 지점에서 선명한 상이 나타나며, 또 상의 크기를 측정할 때, 원과 사각형이 무엇인지, 그리고 십자눈금판에 대한 생각, 그리고 공액점에 대한 나의 생각(定義(정이)가 이해가 안가서 실무 광학 책 참고 했습니다.
렌즈의 초점거리,렌즈
렌즈의 초점거리
이 단원은 렌즈의 초점거리이지만 여기서는 볼록렌즈에 초점이 맞추어져있어서, 볼록렌즈만 다룰 것이다.)을 알아볼 것이다.) 사실 a=b이 부분을 인위적으로 조절하고 실험을 스타트해야한다고 생각을 하였다. 하지만 이 매뉴얼을 보면서 O, I를 크기의 concept(개념)으로 나타내고, 거리의 concept(개념)을 a, b로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배율로부터, 거리와 크기의 관계까지 나타내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물론 이에 대한 증명은 세미나 당시 두 삼각형의 닮음에 의해 증명이 되었다.)
순서
또 렌즈의 배율을 2가지 방식으로 구해볼 것인데, 하나는 거리에 의해, 하나는 상과 물체의 크기에 의해 구해볼 것이다. 기존에 배운 지식으로는, 렌즈는 고정되어있고, 물체가 움직이면 상도 따라 변하는 것이라고 알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