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0 09:48본문
Download : 인간_본성에_관한_논고(흄).hwp
이런 advantage이 없었더라면 나는 위험을 무릅쓰고 이 난해한 철학의 제3권을 집필하지 못했을 것이다. 우리가 서재를 나서서 일상사에 뛰어들면, 그 난해한 추론의 conclusion(결론)은 동틀 녘의 밤도깨비마냥 자취를 감추는 듯하며, 우리는 어렵사리 얻은 이 확신조차 유지하기 힘들다.
이미 살펴보았듯이 정신이 지…(생략(省略))
순서
레포트/기타
Download : 인간_본성에_관한_논고(흄).hwp( 78 )
인간_본성에_관한_논고(흄)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다. 더구나 대부분의 사람들이 거의 한결같이 책 읽기를 오락으로 전도시키고, 상당한 주의력을 쏟아야만 이해할 수 있는 것들은 모두 내팽개치는 시대에 말이다. 정념은 우리를 감동시키는 것으로 기울거나 아니면 허상으로 기울기 때문에, 우리는 이 문제가 인간이 이해하는 영역 안에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사회평화가 도덕성에 관한 모든 결정에 달려있다고 생각한다.설명
제1부: 일반적인 덕과 부덕에 관하여
제1절: 도덕적 구별의 원천은 이성이 아니다
모든 난해한 추론에 따르는 폐단은, 그 추론이 반대자를 납득시키는 게 아니라 침묵하게 만들 수도 있다는 점, 또 우리가 그 추론의 위력을 느끼려면 처음 그 추론을 고안할 때와 마찬가지로 강도 높은 연구를 해야 한다는 점이다. 우리는 우리를 감동시키는 것이 결코 허상일 수 없다고 추정한다. ,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흄)기타레포트 ,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흄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흄)
인간,본성에,관한,논고,흄,기타,레포트
인간_본성에_관한_논고(흄)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이와 본성은 같지만 다른 경우에 우리는 인간이 이해하는 영역에 대해 어떤 의심을 품기 쉽다. 이런 점은 긴 연쇄적 추론에서 더 두드러지는데, 이런 추론의 경우 우리는 첫 번째 명제의 명증성을 끝까지 유지해야 하며, 그러자면 철학이나 일상생활에서 가장 널리 인정되는 모든 공리를 무시하는 일도 흔히 일어난다. 우리가 우리와 거의 무관한 주제보다는 바로 이런 관심사에 대해 더욱 실제적이고 확고하게 사색할 수밖에 없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렇다 하더라도 현재의 철학 체계는 진보하는 만큼 새로운 힘을 얻을 것이고, 또 나는 도덕에 관한 우리의 추론이 지금까지 오성(悟性; understanding)1)과 정념(passion)2)에 관해 말한 것3)을 모두 확인하리라는 등등의 희망을 잃지 않고 있다 도덕성은 다른 그 무엇보다도 우리에게 관심 있는 주제다.